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 부동산 세금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 세금은 무엇인가!! (재산세)

부동산

by 루디의 인생이야기 2021. 5. 28. 21:43

본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재린이 루디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번 시간에 이어서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집을 소유한 사람이 집을 가지고 있는 동안 해마다 내야 하는 세금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재산세'입니다.

 

 

01. 재산세란 ?

재산세란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 소유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으로, 재산세를 걷는 주체는 집이 있는 지역을 관리하는 시청, 구청, 군청입니다.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해당 재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02. 재산세는 어떻게 내는가

재산세 고지서를 가지고 직접 은행에 가서 내도 되고, 인터넷으로 위택스 홈페이지(www.wetax.go.kr)를 통해 내도 됩니다. 2019년 7월부터는 네이버페이 혹은 카카오페이로도 고지서를 받아 즉시납부 또는 자동납부가 가능합니다.

 

 

03. 재산세는 정확히 누가 내는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그 시점에 해당 물건의 주인이 내야 합니다. 만약 계약은 5월에 했는데 잔금일이 6월 1일 이후라면, 6월 1일 당시 집주인은 집을 판 사람이므로 집을 판 사람이 재산세를 내야 합니다. 

이와 반대로 잔금을 6월 1일 이전에 치렀다면 집주인은 집을 산 사람이므로 집을 산 사람이 재산세를 내야 합니다.

그러므로 집을 파는 사람은 6월 1일 이전에 잔금을 받는 것이 좋고, 집을 사는 사람은 6월 1일 이후에 잔금을 치르는 것이 유리합니다.

 

 

04. 재산세는 얼마를 내야 하는가

재산세는 시세가 아니라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매년 산정하는 시가표준액에 따라 그 금액이 달라집니다.


재산세 = 과세표준(시가표준액 X 공정시장가액비율) X 세율


시가표준액이란 지방세를 부과할 때 적용하는 가격을 말합니다. 주택에는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고시하는 개별주택가격이나 공동주택가격이, 토지에는 개별공시지가가, 건물에는 매년 시에서 고시하는 건물시가표준액이 적용됩니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인 과세표준을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시가격의 비율을 말합니다. 해당 부동산의 시세와 지방재정의 여건, 납세자의 납세 부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결정됩니다. 2019년 1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은 60%이고, 토지 및 건축물은 70%입니다.

자 그럼 예시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공동주택가격이 4억원인 주택의 재산세는??


4억원(시가표준액) X 60%(공정시장가액비율) = 2억 4,000원 = 과세표준

과세표준이 3억원 이하이므로 표의 해당 구간 세율을 적용하고 누진공제액을 빼면

2억 4,000만원 X 0.25% - 18만원 = 42만원


실제로 재산세를 낼 때는 본문의 예시에서 계산한 것보다 조금 더 나옵니다. 그 이유는 재산세를 낼 때 재산세 이외에 지역자원시설세와 재산세액의 20%에 해당하는 지방교육세를 함께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05. 재산세는 1년에 몇 번 내는가

재산세는 매년 7월 16일 ~ 7월 31일과 9월 16일 ~ 9월30일에 1/2씩 나누어 두 번 냅니다.

재산세가 10만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만 낼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재산세의 납부세액이 2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액의 일부를 납부기한이 지난날부터 2개월 이내에 나누어 납부할 수 있습니다.

 

 

06. 재산세에는 상한 부담제가 있다

올해 재산세액을 계산한 결과, 전년도 재산세액에 비해 많이 늘어났더라도 전년도 재산세액의 일정 규모를 초과해 걷을 수 없습니다. 주택의 경우 올해 재산세액은 주택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이면 전년도 재산세액의 105%, 3억 초과 6억원 이하이면 전년도 재산세액의 110%, 6억원 초과이면 전년도 재산세액의 130%를 초과해 징수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토지와 건축물의 경우에는 전년도 재산세액의 150%를 초과해 징수할 수 없습니다.

 

 

 

 

 

 

여기까지 재산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세금에 대해서는 너무 한꺼번에 포스팅을 하면 이해하시는데 어려움을 겪으실 것 같아 나눠서 포스팅 하는중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짧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다들 성공적인 부테크 되세요 :)

 

 

 


https://rudy-ft.tistory.com/20

 

[부동산] 부동산 세금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 세금은 무엇인가!! (취득세)

안녕하세요. 재린이 루디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것들을 포스팅할까 하다가 세금의 종류와 그리고 그 세금은 정확히 무엇인가에 대해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자 그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

rudy-ft.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